2024.05.31 (금)

  • 구름조금속초19.7℃
  • 구름많음23.1℃
  • 구름많음철원20.3℃
  • 구름많음동두천19.6℃
  • 구름많음파주19.0℃
  • 구름조금대관령19.3℃
  • 구름많음춘천22.7℃
  • 흐림백령도14.6℃
  • 구름조금북강릉18.9℃
  • 구름조금강릉20.8℃
  • 맑음동해19.8℃
  • 구름많음서울18.7℃
  • 구름많음인천18.6℃
  • 구름많음원주24.1℃
  • 맑음울릉도18.5℃
  • 구름조금수원19.4℃
  • 맑음영월22.9℃
  • 맑음충주23.7℃
  • 구름많음서산19.7℃
  • 맑음울진20.2℃
  • 맑음청주22.6℃
  • 구름조금대전23.6℃
  • 맑음추풍령23.1℃
  • 맑음안동24.7℃
  • 맑음상주24.7℃
  • 맑음포항24.1℃
  • 구름조금군산19.4℃
  • 맑음대구27.5℃
  • 맑음전주20.7℃
  • 맑음울산23.0℃
  • 맑음창원23.3℃
  • 맑음광주22.4℃
  • 맑음부산20.5℃
  • 맑음통영21.6℃
  • 맑음목포19.7℃
  • 맑음여수21.4℃
  • 맑음흑산도18.3℃
  • 맑음완도21.7℃
  • 맑음고창20.2℃
  • 맑음순천22.5℃
  • 구름조금홍성(예)20.3℃
  • 맑음21.0℃
  • 구름많음제주20.7℃
  • 구름많음고산18.6℃
  • 구름많음성산20.9℃
  • 구름많음서귀포19.9℃
  • 맑음진주24.0℃
  • 구름조금강화17.7℃
  • 구름조금양평22.1℃
  • 맑음이천21.6℃
  • 구름많음인제23.7℃
  • 구름많음홍천23.1℃
  • 맑음태백18.6℃
  • 구름조금정선군23.6℃
  • 맑음제천22.8℃
  • 구름조금보은23.6℃
  • 맑음천안20.1℃
  • 맑음보령18.5℃
  • 맑음부여21.2℃
  • 맑음금산22.4℃
  • 구름조금22.1℃
  • 맑음부안19.3℃
  • 구름조금임실21.3℃
  • 맑음정읍21.3℃
  • 구름조금남원24.3℃
  • 구름조금장수21.0℃
  • 맑음고창군19.8℃
  • 맑음영광군19.2℃
  • 맑음김해시22.5℃
  • 맑음순창군23.1℃
  • 맑음북창원24.4℃
  • 맑음양산시24.7℃
  • 맑음보성군24.0℃
  • 맑음강진군22.7℃
  • 맑음장흥22.9℃
  • 맑음해남21.3℃
  • 맑음고흥22.7℃
  • 맑음의령군26.6℃
  • 맑음함양군25.7℃
  • 맑음광양시24.0℃
  • 맑음진도군19.0℃
  • 맑음봉화20.4℃
  • 맑음영주23.0℃
  • 맑음문경23.4℃
  • 맑음청송군23.5℃
  • 맑음영덕21.2℃
  • 맑음의성25.5℃
  • 맑음구미25.4℃
  • 맑음영천25.6℃
  • 맑음경주시24.6℃
  • 맑음거창23.8℃
  • 맑음합천27.0℃
  • 맑음밀양26.6℃
  • 맑음산청26.1℃
  • 맑음거제21.6℃
  • 맑음남해23.6℃
  • 맑음23.3℃
‘월드스타’ 영화배우 강수연, 55세 이른 나이로 별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종합

‘월드스타’ 영화배우 강수연, 55세 이른 나이로 별세

뇌출혈 증세로 쓰러진 뒤 사흘째 의식불명 상태로 병원 치료
영화계 대소사 등에 앞장..무명 배우, 스태프 등 주변 살뜰히 챙겨
‘할머니 여배우’ 꿈 남기고…한국영화 세계무대로 이끈 故 강수연

2022-05-09 00;08;06.jpg

 

 

키보드 컨트롤 (키보드 컨트롤을 클릭하시면 KBS 뉴스 관련 기사 동영상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원조 월드스타' 영화배우 강수연이 7일 오후 3시께 별세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향년 55세.

방송 7일 자 보도에 따르면 강수연은 지난 5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자택에서 뇌출혈 증세로 쓰러진 뒤 사흘째 의식불명 상태로 병원 치료를 받아왔다.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난 고인은 한국 나이 네 살 때 아역으로 데뷔한 뒤 배우이자 문화행정가로 활동하며 반세기 넘게 한국영화와 함께 했다.

아역 시절 '똘똘이의 모험'(1971) 등에 출연하며 동양방송(TBC) 전속 배우로 연기했다. 이후 KBS 청소년 드라마 '고교생 일기'(1983) 등으로 하이틴 스타로 성장했다.

고교생 때부터 본격적으로 영화를 찍었다. '고래 사냥 2'(1985), '미미와 철수의 청춘스케치'(1987) 등에 출연하며 청춘스타로 자리매김했다.

스물한 살 때인 1987년 임권택 감독의 영화 '씨받이'로 베네치아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월드스타'라는 칭호를 었었다.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수상한 한국 배우는 고인이 최초였다. 1989년에는 '아제아제 바라아제'로 당시 공산권 최고 권위였던 모스크바영화제에서 최우수여자배우상을 받았다.

1990년대에도 활발한 작품활동으로 한국영화 중흥기를 이끌었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1990), '경마장 가는길'(1992), '그대 안의 블루'(1993) 등 수많은 흥행작을 냈다.

이 영화들로 대종상영화제·백상예술대상·청룡영화상 등 각종 상을 휩쓸었다. 국내외 영화제·영화상 여우주연상 수상만 10차례에 달한다.

고인은 '무쏘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1995), '처녀들의 저녁식사'(1998) 등 페미니즘 계열로 분류되는 영화에도 다수 출연했다. '스크린쿼터 수호천사단' 부단장을 맡으면서 미국의 통상압력에 맞서 한국영화를 지키기 위해 애쓰기도 했다.

2001년에는 SBS TV '여인천하'로 정난정 역을 맡으며 오랜만에 안방극장에 복귀했다. 이 드라마로 그해 SBS 연기대상을 받았다.

고인은 이후 연기 활동을 줄이는 대신 문화행정가로 변신했다.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 출범 초기부터 심사위원·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다가 2015년 집행위원장을 맡았다. 그러나 2014년 이른바 '다이빙벨 사태' 이후 수년 동안 계속된 갈등과 파행의 책임을 지고 2017년 사퇴했다.

고인은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물러난 이후 공식석상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지난해 10월 강릉국제영화제 개막식 참석이 4년 만의 공개 활동이었다.

지난해 연상호 감독의 신작 '정이'(가제)에 주연으로 캐스팅되며 단편 '주리'(2013) 이후 9년 만에 스크린 복귀를 앞두고 있었다. 장편 극영화 주연은 '달빛 길어올리기'(2010)가 마지막이었다. 넷플릭스가 제작한 '정이'는 촬영을 끝내고 후반작업을 진행 중이다.

영화계는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현 강릉국제영화제 이사장)을 위원장으로 영화인장 장례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감독 이우석·임권택·정진영, 배우 김지미·박정자·박중훈·손숙·안성기 등이 고문을 맡았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2층 17호에 차려졌다. 조문은 8일부터 가능하며 발인은 11일이다.

 

 

‘할머니 여배우’ 꿈 남기고…한국영화 세계무대로 이끈 故 강수연

 

7일 오후 세상을 떠난 영화배우 강수연은 4살 때 아역배우로 시작해 ‘씨받이’, ‘아제아제 바라아제’로 해외 영화제에서 상을 휩쓴 ‘원조 월드스타’다.

강수연이 생전 출연한 영화는 공식적으로 1975년 ‘핏줄’부터 최근 촬영을 마치고 후반작업 중인 넷플릭스 영화 ‘정이’까지 40여 편으로, 한국 영화사가 투영돼 있다.

강수연은 4세에 집 앞에서 길거리 캐스팅으로 배우 인생을 시작했다. ‘엄마’, ‘아빠’, ‘안녕하세요’와 같은 단어만 말할 수 있었던 때였는데 작은 얼굴에 올망졸망한 이목구비가 눈에 띄었다고 한다.

당시만 해도 아역배우가 많지 않아서 강수연은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오가며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고, KBS 청소년 드라마 ‘고교생 일기’(1983∼1986)로 손창민과 함께 당대 최고의 하이틴 스타가 됐다.

대표작인 임권택 감독의 영화 ‘씨받이’(1987)에서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노출신으로 화제가 됐는데, 이때 나이가 불과 21세였다.

강수연은 생전 인터뷰에서 ‘씨받이’의 출산 장면만 4박 5일 동안 촬영했다고 밝혔다. 이 영화로 베네치아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한국 배우 최초로 세계 3대 영화제 수상이라는 새 역사를 썼다.

임 감독과는 2년 뒤 ‘아제아제 바라아제’(1989)로 다시 한번 호흡을 맞춰 모스크바영화제 최우수여자배우상을 거머쥐는 영광을 누렸다. 비구니 역을 맡은 강수연은 영화 속 삭발 장면에서 실제 머리를 깎으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긴 머리가 여성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시기에 여배우의 삭발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강수연은 “비구니 역이어서 머리를 깎는 것은 당연했다”고 대수롭지 않은 듯 말했지만 연기에 대한 열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강수연은 1980년대 ‘씨받이’, ‘아제 아제 바라아제’, ‘감자’(1987)로 고난을 겪는 한국 여인의 파란만장한 인생을 깊이 있게 담아냈다. 1990년대 중후반에는 페미니즘 계열로 분류되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1995), ‘처녀들의 저녁식사’(1998) 등에서 여성상의 변화를 표출했다.

강수연은 깊은 감수성과 지독하고 깊은 사랑을 보여준 ‘경마장 가는 길’(1991), ‘그대 안의 블루’(1992), ‘지독한 사랑’(1996), ‘깊은 슬픔’(1997) 등을 통해 출연이 곧 흥행으로 이어지는 전성기를 누렸다.

2000년대 들어서는 활동이 뜸했지만, 올해 공개 예정인 연상호 감독의 SF 영화 ‘정이’에 출연하면서 오래 기다려온 팬들의 관심이 모아지는 상황이었다. 이 작품에서 강수연은 뇌 복제를 책임지는 연구소 팀장 서현 역을 맡았다. 모든 촬영을 마치고 후반 작업 중인 이 영화는 고인의 유작이 됐다.

영화계나 방송가에서 강수연은 작품을 위해 몸을 사리지 않는 배우로도 유명하다.

그는 ‘고래사냥2’(1985)에서 원효대교에서 한강으로 떨어지는 장면을 대역 없이 직접 소화했고, 35%대 시청률을 기록한 SBS 드라마 ‘여인천하’에서는 한겨울 촬영 때 얇은 소복만 입은 채 얼음물에 들어가기도 했다.

강수연은 어린 나이에 커리어 정점을 찍은 톱스타였지만 영화계에서는 무명 배우나 스태프 등 주변 사람들을 살뜰히 챙기는 ‘맏언니’로 통했다.

영화 ‘베테랑’ 황정민의 명대사인 ‘우리가 돈이 없지, 가오(자존심이라는 뜻으로 쓰인 속어)가 없냐’는 대사는 평소 강수연이 영화인들을 챙기며 하던 말을 류승완 감독이 가져다 쓴 것이라는 일화는 잘 알려져 있다.

강수연은 배우로서뿐만 아니라 영화계의 대소사에도 앞장서며 영화계가 풍파에 흔들릴 때 중심추 역할을 톡톡히 했다.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 출범 초기부터 심사위원·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했고,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사태로 영화제가 위기에 직면한 이후인 2015∼2017년에는 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맡았다.

작품을 할 때마다 연기자로서 부족함을 느낀다고 고백하던 강수연은 인터뷰에서 꿈에 관한 질문을 받을 때마다 “연기 잘하는 할머니 여배우가 되고 싶다”고 말하곤 했다.

 

 

[기사 = 연합뉴스 스크랩, 사진 = KBS 방송 화면 캡처]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