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농촌에 수상한 이들이 왔다? “청양읍 청년 인구는 어떻게 늘었을까?”

기사입력 2024.04.26 23:41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20240426_aU8LIJ.jpg

     

    Screenshot 2024-04-27 at 08.42.01.JPG

     
    농촌에서는 20~30대 청년들 보기가 힘들다는 말이 나온지 꽤 됐다.

    그런데 충남의 한 작은 읍에 20~30대 청년들이 내려와 살기 시작했고 그 숫자는 2년째 늘어나고 있다,
     
    청양읍의 '청춘 거리'는 청년을 위한 사업이 모인 곳이다.

    버스터미널 등이 옮겨가며 쇠락한 읍내로 남을 뻔했지만, 지금은 누구나가게와 음악다방, 공유사무실과 주택 등 청년 관련 시설이 열 개가 넘는다.

    이제는 청양군 뿐만 아니라 중앙부처와 충남도 예산이 골고루 투입돼 젊은 창업가들이 모일 수 있는 특색 있는 거리가 됐다.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KBS 뉴스 관련 기사 동영상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앵커


    농촌에서는 20~30대 청년들 보기가 힘들다는 말이 나온지 꽤 됐습니다.

    그런데 충남의 한 작은 읍에 20~30대 청년들이 내려와 살기 시작했고 그 숫자는 2년째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대체 어떤 청년들이 와서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이수연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청양 고추로 유명한 충남 청양.

    고추 모양에 매콤한 맛을 낸 빵집이 문을 열었습니다.

    청양 고추를 활용한 빵에 기념품, 이른바 굿즈도 개발했습니다.

    관광객도, 학생들도 한 번쯤 들르는 명소가 됐습니다.

    [김태호/청양고등학교 3 학년 : "지역마다 그 지역 빵이 있듯이 청양고추 모양을 딴 게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빵집 주인은 3년 전 도시에서 온 세 젊은이입니다.

    사업의 시작은 '어쩌다로컬' 투어.

    청년들이 시골살이를 해볼 수 있는 관광 상품 운영이었습니다.

    이들에게 비친 농촌은 생기 잃은 한적한 마을이 아니라 마음의 위안과 재미, 여기에다 사업 아이디어가 꿈틀대는 보물창고였습니다.

    자치단체 지원금이 아이디어를 창업으로 연결하는 종잣돈이 됐습니다.

    [김재동/농촌 청년 창업/29살 : "기회는 얻기는 제일 쉬운 것 같아요. 서울은 경쟁이 워낙 치열하기 때문에, 저희가 마음만 있으면, 열심히 한다면 충분히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보육교사 경험이 있는 유안진 씨도 고향인 청양에 돌아와 기회를 발견했습니다.

    주문 케이크 전문점입니다.

    호기심에, 경험 삼아 도전한 창업.

    이제 곧 3년 차로 접어듭니다.

    [유안진/농촌 청년 창업/26살 : "청양에서 쓸 케이크인데 청양에서 사지 못하는 게 좀 아쉬웠고 버스를 타고 오는데 케이크가 살짝 녹아 가지고 망가진 거예요. 너무 안타까운 거예요."]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들에게 터전이 된 것은 청양군이 운영하는 '누구나가게'.

    누구나 6개월 동안 무료로 사업을 해볼 수 있는 공간으로, 2021년부터 열 두 팀이 거쳐갔는데, 이 가운데 여섯 팀이 창업에 성공했습니다.

    청양읍의 '청춘 거리'는 청년을 위한 사업이 모인 곳입니다.

    버스터미널 등이 옮겨가며 쇠락한 읍내로 남을 뻔했지만, 지금은 누구나가게와 음악다방, 공유사무실과 주택 등 청년 관련 시설이 열 개가 넘습니다.

    청양군뿐만 아니라 중앙부처와 충남도 예산이 골고루 투입돼 젊은 창업가들이 모일 수 있는 특색 있는 거리가 됐습니다.

    [오형은/지역활성화센터 대표 : "청년들이 와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고 일을 해 보기 위해서는 하나의 사업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생태계를 만들어 내는 과정들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런 노력 결과, 청양군의 20~30대 청년 인구는 해마다 줄어들고 있지만 청양읍의 청년 수는 2년 전부터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농촌에 사는 청년 가운데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불과 5% 안팎.

    농촌에서 다양한 삶을 펼쳐갈 수 있는 복합적이고 유기적인 정책 지원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KBS 뉴스 이수연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최창준 고석훈/화면제공:청양군·협동조합 어쩌다로컬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