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저소득층, 서울서 집 사려면 ‘한푼 안 써도’ 21년 걸려” 外

기사입력 2019.03.26 13:43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2019-04-13 13;42;56.jpg

     

    <KBS 보도 화면 캡처>

     

    서울에 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체감 집값이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고 KBS 한국방송 모은희 기자가 전했다.

    방송 보도에 따르면, 주택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해 12월 연 소득(명목) 하위 20%인 1분위 가구(2인 이상·도시가구)의 서울 주택 가격(KB시세) 1분위 기준 PIR(소득 대비 주택가격)은 21.0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가 소득 수준과 비슷한 하위 20% 가격의 주택을 사려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21년간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PIR은 실제로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간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소득과 비교한 주택 가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체감 집값 지표로 활용된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가격 상위 20% 주택을 지출 없이 살 수 있는 기간(PIR)은 14.6년이었다.

    고소득층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PIR 차이는 6.4년으로,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크게 벌어졌다.

    같은 분위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한 1·5분위 가구 간 PIR 격차는 2008년 12월 5.2를 기록한 뒤 꾸준히 하락세를 유지해 2017년 12월에는 2.0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지난해 높은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분배 악화까지 심화하면서, 분위별 PIR 격차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졌다.

    KB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3.16%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대출 규제 등으로 상승세가 둔화했음에도 11·10월에 이어 연중 세 번째로 높았다.

     

    서울시민 주택구입의사 떨어져

     

    서울시민의 주택구입의사가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KBS 뉴스 조지현 기자가 전했다.

    방송 보도에 따르면 서울연구원은 지난달 서울시 표본가구 1200가구를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주택구입태도지수가 전분기보다 1.9p 하락한 69.2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가구주 연령별로 봤을 때는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주택 구입태도지수가 전분기보다 떨어졌고 특히 30대 이하가 가장 큰 폭인 9.5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동남권의 주택 구입태도지수가 72.2로 전분기보다 9.0p 상승했고 도심권은 전 분기대비 10.5p, 서남권은 7.8p, 동북권은 2.5p, 서북권은 1.6p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은 9.13 부동산 대책 이후 각종 규제 정책의 영향으로 주택거래가 정체되고 주택 매수심리가 꺾인 것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시민이 체감하는 경기도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소비자태도지수는 93.7로 전 분기 대비 0.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울시민들은 택시 요금 인상 후 서비스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 조사결과 86.5%가 '별 차이 없을 것' 이라고 답했고, '개선될 것 같다'고 답한 사람은 7.5%에 불과했다.

    카풀 앱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44.5%로 부정적이라는 응답(21.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