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한경연 “한국 가계소득 증가 OECD 6위…우려와 달라”

기사입력 2019.01.28 15:32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2019-01-29 09;32;45.jpg

     

    <KBS 보도 화면 캡처>

     

    한국의 가계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 부진하다는 우려와 달리 가계소득 증가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6위 수준이라는 주장이 나왔다고 KBS 한국방송 이승철 기자가 전했다.

    방송 보도에 따르면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오늘(28일) OECD 회원국 27개국의 국민총소득(GNI)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가계소득은 2000년 428조 원에서 2016년 1천16조 원으로 2.37배 늘어 6위를 차지했고, OECD 평균보다 높다고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국가는 라트비아로 3.74배 증가했고, 증가율이 가장 낮은 일본은 0.96배로 2000년보다 감소했다.

    또, 이 기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높은 고성장 국가(12개국)의 가계소득은 2.44배 늘어났고, 저성장 국가(15개국)는 1.53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경연은 "GDP 증가 폭이 큰 국가는 가계소득 증가 배수도 높았다"며 "가계소득 비중과 가계소득 자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중이 높다고 해서 증가 폭이 커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평균 가계소득 비중이 78.9%로 1위인 미국의 가계소득 증가는 1.77배(15위)로 OECD 평균에 못 미쳤지만, 평균 가계소득 비중이 52.6%로 가장 낮은 노르웨이의 가계소득은 2.28배(7위) 증가한 것으로 분석니다.

    한국의 가계소득 비중은 2016년 61.7%로 OECD 22위였지만, 2000년 대비 6.1%포인트 줄어 OECD 평균(-2.8%p)보다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0년 대비로 비교하면 OECD 평균이 0.7%포인트 감소한 것과 달리 한국은 1.4%포인트 늘어났다.

    한경연은 이런 가계소득 증가는 임금근로자의 소득 증가가 이끌었다고 밝혔다. 국민계정의 대표적 가계소득인 임금근로자의 피용자 보수와 자영업자의 영업 잉여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임금근로자 소득은 연평균 6.7% 증가했고 자영업자의 영업 잉여는 1.4%에 그쳤다.

    backward top home